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2024년 증여세 계산 방법 및 면제한도 총정리

by 행복한우너씨 2024. 1. 14.

부모 자식 간의 증여를 할 때 가장 먼저 알아보아야 할 세금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증여세'입니다. '부모 자식 간에도 함부로 계좌이체하지 말라'라는 말이 있죠. 부모 자식간에 돈을 주고받을 때 일정 금액 이상을 넘어가면 반드시 국가에 신고를 해야 하는 세금이 있는데요. 바로 '증여세'입니다. 이번시간에는 2024년 증여세 면제한도 상향 되는 범위와 세율, 그리고 증여세 계산하는 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2024 증여세 면제한도 총정리
증여세

 

 

 

목차

1. 증여세란?
2. 2024년 증여세 면제한도 상향
3. 2024년 증여세율
4. 증여세 신고기한

 

 

1. 증여세란?

증여세란 타인의 증여에 의해 무상으로 취득한 재산을 과세대상으로 하여 그것을 취득한 사람에게 부과하는 조세를 말합니다. 따라서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무상으로 받은 수증자는 그 재산에 대한 증여세를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2.  2024년 증여세 면제한도 상향

부모가 자녀에게 주는 증여세 공제대상 범위는 미성년 자녀의 경우 2천만원, 성년인 자녀의 경우 5천만 원까지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는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러나 2024년에 부모가 자녀에게 주는 증여세 면제한도 상향되었는데요. 결혼한 성년인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할 경우 1억 원을 추가 공제받을 수 있게 개정되었습니다.  

 

 

 

구분 현행 개정안
배우자 6억 원 6억 원
직계존속->직계비속 5천만 원
(미성년자 2천만 원)
5천만 원
(미성년자 2천만 원)
+ 혼인 공제 1억 원
직계존속->직계비속 5천만 원 5천만 원
기타 친족 1천만 원 1천만 원

 

 

 

 

 3. 2024년 증여세율

2024년 증여세율은 전년도와 동일합니다. 과세표준 1억원 이하일 경우 10% 세율을 적용받으며, 30억 초과 시 최대 50%의 세율을 적용받습니다.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억원 이하 10% -
1억원 초과~5억원 이하 20% 1천만원
5억원 초과~ 10억원 이하 30% 6천만원
10억원 초과~ 30억원 이하 40% 1억 6천만원
30억원 초과 50% 4억 6천만원

 

 

 

 

증여세 계산하기

 

 

 

 

 

 4. 신고기한 

증여세 신고기한은 증여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로부터 3개월이내에 신고하여야 하며, 신고는 국세청 홈택스 또는 관할 세무서에 방문하여 신고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