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국세청 홈택스 세금포인트 적립 확인 방법 및 사용처 (활용방법 공유)

by 행복한우너씨 2024. 1. 1.

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세금을 성실 납부하면 지급되는 세금포인트 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금포인트는 세금을 성실히 납부하면 적립되는 포인트인데요. 세금포인트 확인은 국세청 홈택스에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금포인트 - 적립 - 확인방법 - 사용처
세금포인트 확인 방법 및 사용처

 

 

<목차>

1. 세금포인트란?

2. 세금포인트 확인 방법

3. 세금포인트 사용처
  1) 세금포인트 할인쇼핑몰
  2) 납부기한등의 연장담보면제
  3) 소액체납자 재산 매각 유예
  4) 인천 국제공항 비즈니스센터 이용
  5) 박물관, 생태원, 수목원 입장료 할인

 

 

1. 세금포인트란?

 

세금포인트는 기본적으로 자진납부한 세액 10만 원 당 1점(고지서를 받고 납부한 세액은 10만 원 당 0.3점)을 부여하되, 환급세액은 그만큼 차감됩니다. 세금포인트는 매년 3월 전년도 납부세액에 대하여 일괄 부여됩니다. 

 

 

 

2. 세금포인트 확인 방법

첫번째 : 일단 아래 사이트 국세청 홈택스 에 로그인을 합니다.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두 번째 : 국세청 홈택스에 로그인 후 [마이홈택스 > 세금포인트]를 클릭합니다.

 

세 번째 : 세금포인트를 클릭하면 지금까지 적립된 세금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세금포인트 혜택 바로가기]를 클릭하면 세금포인트 사용처를 비교적 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3. 세금포인트 사용처

 

1)  세금포인트 할인쇼핑몰

 

세금포인트는 할인쇼핑몰에서 포인트를 사용하여 최대 5%할인받아 물건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 10만 원 이하까지는 1포인트 사용가능하며, 10만 원 이상은 2포인트, 20만 원 이상은 3포인트, 30만 원 이상은 4포인트, 40만 원 이상은 5포인트 사용하여 좋은 제품을 5% 할인받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세금포인트 할인율
세금포인트 할인쇼핑몰 할인율

 

세금포인트 할인쇼핑몰 바로가기

 

 

 

 

 

 

2) 납부기한 등의 연장 담보 면제

 

※ 세금포인트 사용신청서 (납부기한등 연장) 서식 (다운로드) 

 

 

 

 

 

3) 소액체납자 재산 매각 유예

 

※ 세금포인트 사용신청서 (매각유예) 서식 (다운로드)

 

 

4) 인천국제공항 비즈니스 센터 이용

 

 

 

5) 박물관, 생태원, 수목원 입장료 할인

국립중앙박물관(서울) - 10% 할인(1포인트 사용)

 

 

국립중앙박물관

 

www.museum.go.kr

 

국립세종수목원(세종), 국립백두대관수목원(경북 봉화), 국립생태원 및 국립해양생물자원관(충남 서천)

   - 입장료 1천원 정액할인 (1포인트 사용)

 

① 국립세종수목원(세종)

 

국립세종수목원

 

www.sjna.or.kr

 

② 국립백두대간수목원(경북 봉화)

 

국립백두대간수목원

 

www.bdna.or.kr

 

③ 국립생태원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

환경부 산하, 생태조사·연구, 멸종위기종 복원, 전시·교육기관

www.nie.re.kr

 

 

④ 국립해양생물자원관(충남 서천)

 

 

국립해양생물자원관 - 메인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해양생물자원 보전과 해양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해 설립된 해양수산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이다.

www.mabik.re.kr

 

 

 

이때 주의 할 점은 쿠폰 1장은 개인 1명만 사용가능하므로, 여러 명이 동반입장한다면 해당 인원수에 맞게 쿠폰을 발행해야 합니다. 또한 쿠폰 발행은 모바일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국세청 홈택스 [손택스] - Google Play 앱 를 검색하여 로그인하면 쉽게 발행 가능합니다.

 

 

 

 

※ 이용방법 : 국세청 손택스 > 마이홈택스 > 세금포인트 > 세금포인트 혜택 바로가기 > 모바일 쿠폰 바로가기 

 

 

 

지금까지 세금포인트란 무엇이며, 적립된 세금포인트 확인 방법 및 사용처, 활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