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정부24] 온라인 인감증명서 발급 서비스 대상 확인 및 발급 방법

by 행복한우너씨 2024. 10. 29.

정부24-인감증명서-온라인-인터넷-발급-방법-대상
온라인 인감증명서 발급 대상 및 발급 방법

 

 

2024년 9월 30일부터 공인인증서(금융인증서)만 있으면 집에서 온라인(인터넷)으로 인감증명서를 손쉽게 발급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정부24를 통한 온라인 인감증명서 발급 서비스 대상 확인 및 발급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정부24-온라인-인감증명서-발급대상-발급방법
정부24를 통한 온라인 인감증명서 발급 방법

 

 

'온라인' 인감증명서 발급 서비스 대상

온라인 인감증명서 발급 서비스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인 · 허가 및 면허신청 : 도로점용, 건축, 영업/폐업신고, 개인택시, 옥외광고물 등
2. 공증 · 보증 : 재정보증, 자금 대부 보증
3. 보상 청구 : 소송사무 청산금, 유족보상 등
4. 계약 · 사업신청 : 주택 · 토지계약, 청약, 입찰 참가 등
5. 경력증명

 

정부24에서 온라인으로 직접 인감증명서 발급받을 수 있으므로, 수수료는 무료입니다. 

 

 

'오프라인' 인감증명서 발급 대상 (직접 주민센터 방문 발급)

1. 법원 또는 금융기관 제출용

2. 부동산 매도용 또는 자동차 매도용

 

 

 

위 2가지 사항을 제외하고는 온라인으로 인감증명서를 직접 발급받아 제출할 수 있습니다. 저 또한 전세계약용으로 제가 직접 계약하러 가지 못해서 대리인을 통한 온라인 인감증명서를 발급받아 제출하였습니다.

 

 

정부24를 통한 온라인 인감증명서 발급 방법

다음은 정부24를 통한 온라인 인감증명서 발급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아래링크를 통해 정부24에 접속합니다. PC에서만 발급가능하므로 PC를 통해 정부24에 접속합니다. 이때 회원가입 없이도 접속 가능합니다.

 

 

정부24(www.gov.kr) 접속

 

 

 

 

 

검색창에 '인감증명서'를 검색하고 돋보기를 누르면 '인감증명서 발급 신청'의 '신청하기'를 눌러줍니다. 

 

 

이때 비회원 신청하기를 눌러서 신청해도 2차 인증을 통한(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 인감증명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비회원 신청하기'를 눌러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 버튼 누르고 '기타 비회원 신청정보'를 입력합니다.

 

 

인감증명서 발급 시 유의사항이 뜹니다. 모두 확인하고 다음 버튼을 누릅니다. 

 

 

이때 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를 통한 2차 인증을 하게 됩니다. 본인이 인증하기 편한 것을 선택해서 인증하면 됩니다.

 

주소확인은 필수적으로 입력하게 되어 있으므로 본인의 주소지를 등본상 주소지를 확인하여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휴대폰 인증을 통한 3차 인증을 하게 됩니다. 발급용도는 본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체크를 하시면 되고, 저는 전세계약용으로 하는 거라 기타에 놓고 용도를 적어주었습니다. 그리고 제출처 필수로 입력하시고 신청하기를 누르면 됩니다.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발급하기'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이 인감증명서(전자민원창구용)로 발급이 됩니다. 이는 주민센터에서 발급한 인감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의할 것은 발급용도 및 제출처가 올바르게 기재되어 있는지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시고 내용이 올바르게 적혀있다면 발급신청자와 서명 란에 이름을 적어주면 됩니다. 

 

그리고 만약 본인의 인감증명서를 온라인으로 발급해도 되는 건지 헷갈린다면 인감증명서를 제출하시는 제출처에 정확히 확인하셔서 온라인 발급대상 여부를 결정하시고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정부24를 통한 온라인 인감증명서 발급서비스 대상 확인 및 온라인 인감증명서 발급 방법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